SANGMYUNG UNIVERSITY

Scroll Down

 
 
닫기
일주일간 팝업 보지 않기
 

교수프로필

학위
  • 박사,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(세부전공 : 수학교육학), 202202
  • 석사,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(세부전공 : 수학교육학), 201702
  • 학사,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, 201408
경력
  • 조교수, 상명대학교, (2022.09~ )
  • 강사, 전주교육대학교, (2022.03~2022.08)
논문
  • 수학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: 수학 대상의 심미성, 수학적 감수성, 심미적 수학 실천, 수학교육철학연구, 202412
  • 한 경력 교사의 과제 변형 사례 연구: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역동적 작용을 중심으로, 수학교육학연구, 202411
  • 동적 기하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심미적 실천을 통한 수학적 탐구: 두 초등학생의 여러 가지 사각형에 관한 탐구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,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, 202411
  • 지수함수 미분법의 정당화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수학 내용 지식과 인식, 학교수학, 202409
  • 증명과 정당화 사이의 관계를 바라보는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 탐색, 수학교육학연구, 202405
  • Distance Semiotic Mediation through Orchestration Using a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Dynamic Geometry Software, 수학교육학연구, 202211
  • 사범대학 해석학 전공 교재에서 나타나는 지수함수 미분법의 정당화 방식에 관한 연구, 학교수학, 202209
  • 수학 학습에 기여하는 기호로서의 다이어그램에 관한 세 가지 관점, 수학교육학연구, 202111
  • 수학적 의미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제스처와 다이어그래밍의 상호 수반적 작용: 다이어그램을 통한 통계적 사고 사례를 중심으로, 수학교육학연구, 202111
  • Integr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to everyday classes through dynamics between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, ZDM – Mathematics Education, 202109
  • 다이어그래밍을 통한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 학습 사례 연구: Châteletean 관점을 중심으로, 수학교육학연구, 202105
  •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 주체성: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교수 관련 지침을 중심으로, 수학교육철학연구, 202011
  • 수학적 창의성 발현 과정에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패턴 연구: 한 경력교사의 문제해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, 학교수학, 202011
  • Supporting students’ argumentation structure construction using indeterminacy of diagram, 수학교육학연구, 202008
  • 포괄적 유물론에 따른 수학 수업 설계와 실행 사례 분석: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성질 정당화 활동을 중심으로, 학교수학, 202003
  •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: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, 수학교육, 201911
  • 기호적 중재를 통한 사각형의 성질 학습 사례 연구: 성질 사이의 관계에 관한 추론을 중심으로, 학교수학, 201903
  • 들뢰즈의 인식론과 수학 학습, 학교수학, 201609
저역서
  • 수학 기초학력 지도, 경문사, 20240531
  • 수학·신체·테크 놀로지의 삼중주: 포괄적 유물론과 수학교육의 만남 (역서), 경문사, 20200901
학술발표
  • The role of aesthetic practices in promoting student-initiated inquiries in a dynamic geometry environment,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athematical Instruction, 20240713
  • A Deleuzian perspective on mathematics learning,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, 20170719